정보기술분야 기술사 국가자격 소개
1. 정보기술분야 기술사 국가자격 정보
가) 국가자격 종목명• 정보관리기술사(Professional Engineer Information Management)
•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(Professional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)
• 정보처리기술사: 정보관리/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를 통칭(현재 국가자격명은 아님)
나) 국가자격 종목 변천과정
• 1974 년: 정보처리기술사(정보관리, 수학응용, 전자계산기조직응용)
• 1983 년: 정보처리기술사(수학응용, 정보처리)
• 1991 년: 정보관리기술사,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
• 현재: 정보관리기술사,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
다) 관련부처: 미래창조과학부
라) 시행기관: 한국산업인력공단
• 홈페이지: http://www.q-net.or.kr
2. 정보기술분야 기술사 상세안내
가) 자격 목적
• 정보관리기술사
- 정보처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, 각 조직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양성이 필요하게 됨
•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
- 현대사회는 매우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데 그중 컴퓨터 산업의 발달은 전자산업의 총아로서 더욱 더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.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전자공업국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전자산업에 우수한 기술인력을 공급하고자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, 풍부한 실무경험을 가진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여 자격제도 제정
나) 수행 직무
• 정보관리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정보시스템을 계획, 연구, 설계, 분석, 시험, 운영, 시공, 감리, 평가, 진단, 사업관리, 기술판단, 기술중재 또는 이에 관한 기술자문과 기술지도 업무를 수행
다) 진로 및 전망
• 정보통신, 한국통신, 연구원, SI(system integrated) 업체(정보통신, 시스템구축회 사 등)에 근무하거나 개인사무소를 개설하여 운영한다.
• 「정보통신공사업법」에 따 품질검사 전문기관의 기술인력과 감리원 자격을 취득하여 감리전문회 및 고급감리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.
• 정보화사회를 이행함에 따라 정보유통량이 증가하여 방대한 자료를 컴퓨터로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. 따라서 자료처리의 컴퓨터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새로운 시스템구축 및 기존 시스템의 확장 등이 증가될 것이다.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결정하거나 개발할 때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확인하며, 궁극적인 책임을 지는 의무와 권한을 행사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. 따라서 이와 관련된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.
• 매년 응시자수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 만, 자격취득자는 20 여명 수준에서 일정 수를 유지하고 있다.
라) 자격 우대현황
• 공무원 특별채용의 자격 및 특수업무수당지급
• 연구직 또는 지도직 공무원의 경력채용 자격
• 교원 임용시 자격증 소지자 우대
• 합동기술사 사무소 개설에 필요한 자격
• 기업부설창작연구소의 인력기준, 특허기술정보센터 등록요건
• 정보시스템감리원, 정보통신기술자의 자격기준
• 기타: 한국산업인력공단 종목별 우대현황 참고
- www.q-net.or.kr/crf005.do?id=crf00505&gSite=Q&gId=&jmCd=0622&tabGbn=1
'기술사학습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술사 최대한 빨리 취득하려면? (0) | 2022.09.23 |
---|---|
정보기술분야 기술사 시험정보 (0) | 2022.09.23 |
정보처리기술사. 기출문제 101~121회 (0) | 2022.09.23 |
121회 정보관리기술사 문제 (0) | 2022.09.23 |
기술사 공부하는 이유, 기술사 되면 좋은점 (0) | 2022.09.23 |